구기자의 세상만사

HOME > YouTube > 구기자의 세상만사
구기자의 세상만사

박가분 朴家粉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구충모 작성일23-07-01 09:56 댓글0건

본문

[전국기자협회=구충모 기자] 光化文 광화문은 여러가지 면에서 청와대 경복궁 세종로와 함께 우리나라 근대 개화 현세를 통털어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.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254_4378.jpg
 


조선왕조의 상징이자 백성을 기쁘게 하라는 의미의 법궁인 '경복궁의 정문'이다. 임금 왕의 큰 덕이 온나라를 비춘다'는 뜻도 있다.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586_6385.jpg
 

전통 봉건사회에서 유교적 가치와 백성과 더불어 태평성세를 누리고자 했던 조선의 이념적 지향의 대표적 표지 현판글이다. 국민의 광장이 된  광화문 일대는 보면 볼수록 아름답고 고색창연한 역사의 숨결이 느껴지는 곳이다. 


시민의 목소리와 함께 정치적인 목적의 집회와 활동의 場마당이 된 세종대로는 종로와 종각 조계사 덕수궁 창경궁 청계천 중구 그리고 남산 남대문 소공동 명동 서울역 등 우리나라 대표적 도심 속 옛 모습을 간직한 온통 사적지들이다.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646_7747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831_4516.jpg
 

색조는 그 시대를 상징하는 건축물에서만 머물지 않는다. 계절에도 국가에도 기조색이 있듯이 여인의 마음을 사로 잡는 화장품에는 매년 그 해를 상징하거나 유행을 선도하는 기조색이 있다. 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021_3008.jpg
 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295_1395.jpg
 

성리학이 지배하던 유교적 양반사회에서 '금지된 욕망'에 해당하던 미니스커트와 댄스 조선의 여성들에게는 감추고 덮었어야 할 허물이었던 그때 그 시절에도 '박가분'이라는 동동구리무 보다 더 귀한 보물이 있었으니 전통가치에 대드는 근대적 자아의 발견은 변화를 주도하는 신여성들의 아이콘이었다.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308_6724.jpg
 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728_8278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733_1039.jpg
 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141_3932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146_6393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131_6424.JPG 


개항 이후에는 서양의 화장품이 양주 위스키 양담배와 함께 유학파 교사 하란사 1875~1919 등을 통해 스며들어 왔다. 오~ 우물 밖의 세상을 향기로 색깔로 알려준 개화였다.  


근대적 신여성들은 자신의 독립적인 존재감을 증명이라도 할 기세로 빨간 구찌베니에 얼굴과 피부를 가꾸는 일에 몰두하기 시작했다. 얼굴을 가리고 다니던 조선의 여인에서 양장을 하고 핸드백에 우산을 들고 자유롭게 다니기 시작한 것이다.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345_7632.jpg
 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183_1156.jpg
 


1910년 한일합방 이후에는 경성제국대학 이화학당 배재학당 배화여숙 숙명 동덕 덕성 이화 등 여성교육과 일본식 문화에 서양의 화장품을 모방한 백분 크림 비누 등 밀수품들이 성행하여 여성을 매혹하는 문화적 표상이 되기도 했다.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364_3707.jpg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391_2374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4377_5434.jpg

 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344_616.jpg
 

1916년 이에 대응해 우리이름의 최초 브랜 화장품 '박가분'의 탄생도 이 즈음이었다. 국내 토종자본으로 종로 이명래 고약과 함께 박승직 상점은 1896년 종로4가에 최초 설립 창업되었다.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229_8052.jpg
 

박가분의 제작자는 박승직의 처 정정숙 여사였다. 종로구 입정동 어느 노파가 백분을 직접 만들어 파는 것을 눈여겨 본 정정숙 여사는 부군이던 박승직이 운영하던 포목점의 사은품으로 나눠 주기시작했는데 입소문을 타고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. 


1922년 11월 24일 자 동아일보 2면 박가분 광고에는 '박가분을 바르면 주근깨와 여드름이 없어지고 얼굴에 잡티가 없어져 매우 고와집니다'라는 광고가 실린 기록이 있다. 지금 생각하면 과대 과장광고로 단속이 될 수도 있으나 그때 그 시절을 돌이켜 보면 그 보다 더 좋은 화장품이 또 어디에 있었겠는가!
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385_9408.jpg
 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127_7477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135_8114.jpg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145_8088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154_7921.jpg

뱃길이라 서울에서 사흘 목계나루에 이흐레 나흘 찿아 박가분 파는 가을볕도 서러운 방물장수 되라네' - 충주 출신의 신경림 작가의 '목계장터'라는 詩다. 전국 각지의 방물장수를 통해 재래식 화장분을 브랜드 '박가분'으로 팔려 나간 것이다. 민심과 함께 여심을 통해 전국의 경제를 살리는 '박가분'이었다.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036_4024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171_1094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216_8457.jpg
 

1930년대 동동 구리무 열풍 전후의 서가분 장가분 서울분 설화분 등의 유사품이 대거 화장품의 제조와 유통에 뛰어드는 계기로 기미를 감쪽같이 가려주거나 지워주고 잡티를 제거해 화사한 얼굴로 자유롭게 다닐 수 있었던 우리나라 조선의 개화기를 그렇게 근현대사를 맞이했다. 조선여인 후예들의 저항이기도 했다. 
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399_396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411_3022.jpg
 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3460_6246.jpg
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024_1745.jpg
7edfb0c39ab6b87b9741050358ce476c_1688172528_2623.jpg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