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기자의 세상만사

HOME > YouTube > 구기자의 세상만사
구기자의 세상만사

조선의 역관 譯官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구충모 작성일23-06-08 07:52 댓글0건

본문

[전국기자협회=구충모 기자] 우리나라에서 통역업무를 전담하던 관청은 1276년 고려 충렬왕 2년 통문관이었다. 국가가 양성했던 조선시대의 역관은 중인의 신분으로 외국어 실력을 바탕으로 오늘날 외교관과 같은 역할을 했다. 
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8255_3162.jpg
 

그들은 중국이나 일본으로 간 사신단에서 통역을 주로 담당했고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사신들을 수행하고 통역 등 주요한 일들을 맡아왔다. 조선시대의 4대 외국어는 주로 중국어 일본어 몽골어 여진어였다. 
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8310_3645.jpg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8324_1924.jpg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8353_3354.jpg
 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8178_8664.jpg
KBS​역사저널 캡처


대체로 10세를 전후해 사역원의 생도로 들어가 20세가 넘으면 역과 시험을 통해 역관이 되었다. 유교경전이나 한시 등 조선의 문관이나 중국의 관리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그 내용을 이해해야 했던 것으로 경국대전을 외국어로 번역하는 역관들이 있었을 정도다.


일본어 교재로 '첩해신어'라는 책은 '일본어를 빨리 해독하는 책'이라는 의미로 '속성으로 배우는 일본어'로 해석할 수 있다. 조선의 역관 김지남은 청나라에서 유출을 금지했던 '화약을 만드는 흙을 달이는 방법'을 수록한 '신전자초방'이라는 책을 기록으로 남겼다.
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8018_6105.jpg
 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7971_8556.jpg
 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7953_3121.jpg
 

김지남 역관은 1712년 청나라의 장수 목극등을 따라 백두산에 올라 '백두산 정계비'를 세우는데 공헌했다고 전해진다. 西쪽으로는 두만강, 東쪽으로는 토문강을 경계로 정해 백두산 천지를 조선의 영토로 확정하는데 큰 공을 세운것도 역관이었다.


'통문관지'의 기록에 따르면 조선 선조 때 홍순언 1530~1598이란 역관은 명나라로 그의 임무를 수행하러 가던 중 어느 한 여인을 구해 주었는데 이 여인이 후일 명나라 군사권을 장악한 병부상서 石星의 후처가 되어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의 군사적 지원을 끌어내는데 크게 도움을 준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.
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7917_3746.jpg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7932_8187.jpg
 


1636년 제4차 조선통신사 일행의 행렬도에도 정식사신 뒤를 따르는 역관의 모습들을 볼 수 있다. 경진년 연행도첩 문무도에는 중국을 다녀 온 사신들이 영조가 열람하기 쉽도록 21폭의 화첩의 제작 등에도 역관의 숨은 역할이 있었을 것으로 오늘날 외교사에 기억할만한 일들의 통역과 안내 기록 등 '조선의 역관'은 한국사에서 어떤 모습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을까?


e7b604ad4ade803733288ebd9602c392_1686177893_3293.jpg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