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기자의 세상만사

HOME > YouTube > 구기자의 세상만사
구기자의 세상만사

우리나라 저항시인 이육사 1904~1944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구충모 작성일22-02-03 17:50 댓글0건

본문

[전국기자협회=구충모 기자] 근대 문인 가운데 일제 침략에 항거한 저항시인은 만해 한용운(1879~1944), 이육사(1904~1944), 윤동주 (1917~1945), 이상화(1901~1943) 심훈(1901~1936) 등을 꼽을 수 있다. 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061_0158.jpg
 


1930년 1월 3일 자 조선일보에 '말' 馬이라는 詩 " 오 먼 길에 지친 말, 채찍에 지친 말이여~ / 새해에 소리칠 흰 말이여! " 시인이자 독립운동가 이 육사의 첫 작품이다.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078_2498.jpg
 

퇴계 이황 선생 가문의 14대 손으로 안동 선비집안의 자손으로 그의 형 이원기 동생 이원유와 함께 1925년 스물 한살의 나이로 무장 독립운동을 펼치던 조선의열단 활동을 했다.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098_7508.jpg
 

1927년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 당시 대구형무소 수감 시절 수인번호가 264인데서 '육사'라는 호가 유래되었다고 한다. 나라를 잃은 치욕의 역사 속 '죽이고 싶도록 치욕스러워 죽일 '戮' 자를 자청했다는 후문이다.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114_3801.jpg
 


유리 처럼 맑고 깨끗한 얼굴에 항상 활기찬 미소와 조용한 말씨와 기품의 시인은 '청포도' '절정' '광야' 와 같은 불세출의 詩를 남겼다.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145_0464.jpg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242_7204.jpg
 


'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' 1932년 시인은 항일운동을 위해 만주를 거쳐 중국으로 갔다. 조선의 독립을 위해 저항한 이육사의 본캐는 총을 든 독립투사였고 부캐가 시인이었던 것이다.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167_396.jpg
 


"내 고향 칠월은 청포도 익어가는 시절..내가 바라던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청포를 입고 찿아 온다"라 했으니 푸른 도포를 입은 손님이란 조국광복과 자유평화를 상징한다고 여겨진다.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183_9238.jpg
 


'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' 라고 한 그의 시 '절정'은 일제 침략을 무찌르는 강철 같은 기개와 행동을 상징한다. "다시 천고의 뒤에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노라"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192_4762.jpg
 

일제에 항거해 17번이나 투옥 되었던 '육사'는 1943년 잠시 귀국 중 다시 체포되어 애석하게도 조국의 광복을 보지 못하고 1944년 1월 16일 감옥에서 옥사했다. 

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050_8659.jpg
1d9721768bf0b1c3ac4ee59e43bf3634_1643878203_8236.jpg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