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기자의 세상만사

HOME > YouTube > 구기자의 세상만사
구기자의 세상만사

한국 추상조각의 선구 - 김종영 1915~1982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구충모 작성일22-02-02 20:45 댓글0건

본문

[전국기자협회=구충모 기자] 한국 추상 조각의 선구자 김종영은 창원읍 한적한 마을 김해 김씨의 대궐 같은 집에서 태어났다.  

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081_0386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17_2347.jpg
 


1926년 이원수(1912~1981)의 동시이자 동요 '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..'이 그 곳이다.  '고향의 봄'에 나오는 '울긋 불긋 꽃대궐'이 바로 김종영 일가의 창원 소답동 꽃집 그 곳이다.  

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12_7495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23_1638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31_7145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40_1406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35_0182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45_1574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52_2081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59_5641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67_5722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73_9353.jpg
 



1930년 휘문고보에 입학 후 1936년 동경예대를 유학했던 그는 서양조각들의 화집을 통해 조각의 보편성과 본질을 공부했다. 해방 후 동양화의 장우성, 박갑성 윤승욱 등과 교우하며 억지로 파내려가지 않는 '불각의 미'의 조각을 배운다.

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53_7282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62_4492.jpg
 
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053_719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182_3755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91_1867.jpg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297_3785.jpg
 


김종영 조각의 '불각의 미'는 나무든 돌이든 이미 재료 속에 담겨 있는 象의 본체를 통찰하여 불필요한 허상을 버리고 단도직입적인 경지로 요약된다. 울긋불긋 꽃대궐에서 미나리 생선탕을 즐겼다는 조각가 김종영 - 봄이면 큰 민어탕으로 귀하게 그를 모셨다는 미식가 원화랑의 정기용과는 결이 잘 맞았다고 한다. 


b0bcd2cf9a91a751540c90a280f96922_1643802094_1231.jpg
 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